top of page
contents_bg_edited.jpg

Contents

배리스터에서 발행한 컨텐츠를 아래에서

​읽고 다운로드 및 인쇄를 하실 수 있습니다.

경계선 지능: 법적 보호의 사각지대를 넘어서는 길

ree

들어가며

경계선 지능은 지능지수(IQ) 71~84 사이에 해당하는 인지 능력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전체 인구의 12~14% 정도로 추정되는 상당한 규모의 집단입니다. 경계선 지능인은 평균 이하의 인지 능력으로 인해 학습, 사회 적응, 직업 활동 등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만, 현행 법률상 장애인으로 분류되지 않아 제도적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습니다.


관련 법률 및 최근 동향

현행 장애인복지법은 지적장애의 기준을 IQ 70 이하로 규정하고 있어, 경계선 지능인은 법적 장애인 지위를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이들은 비장애인에 비해 인지 능력이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지원을 받지 못하는 실정입니다.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계선지능인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안이 국회에 발의되었습니다. 이 법안은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법적 정의를 확립하고, 실태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의무화, 시·도별 지원센터 설립 등을 통해 고용, 교육, 양육 등의 분야에서 체계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형사법적 고려사항

경계선 지능인과 관련된 형사사건에서는 주로 책임능력의 문제가 대두됩니다. 형법상 책임능력은 행위 당시 행위자가 자신의 행위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에 따라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경계선 지능인의 경우, 완전한 책임능력은 인정되지만, 그들의 인지적 한계로 인해 범행의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대법원 판례 분석:

대법원은 지능지수만으로 책임능력을 판단하지 않고, 구체적인 범행 상황과 행위자의 인지 능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합니다.

대법원 2010도3504 판결에서는 피고인의 행위가 국가보안법 위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함에 있어 피고인의 인지 능력과 행위의 구체적 내용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습니다.

대법원 2007도72 판결에서는 경계선 지능을 가진 피고인의 책임능력에 대해 중요한 견해를 제시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의 지능지수가 71로 경계선 지능에 해당하나, 이는 그 자체로 심신미약 상태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으며, 구체적인 범행 당시의 정신상태와 범행 전후의 행동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대법원 2009도14035 판결이 사건에서는 경계선 지능을 가진 피고인의 자백의 신빙성이 문제되었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의 경계선 지능 상태를 고려할 때, 자백의 임의성과 신빙성을 판단함에 있어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이는 경계선 지능인의 취약성을 형사절차에서 고려해야 함을 강조한 것입니다.


민사법적 고려사항

경계선 지능인과 관련된 민사사건에서는 주로 계약능력과 불법행위책임이 문제됩니다.


계약능력

민법상 의사능력이 있는 자는 원칙적으로 계약을 체결할 수 있습니다. 경계선 지능인의 경우, 계약의 내용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개별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복잡한 계약의 경우, 경계선 지능인이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계약의 무효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


불법행위책임

불법행위책임과 관련하여, 경계선 지능인의 행위가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할 때는 그들의 인지 능력을 고려해야 합니다. 다만, 경계선 지능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판단해야 합니다.

대법원 2016다237714 판결에서는 경계선 지능을 가진 사람의 계약 체결 능력이 쟁점이 되었습니다. 법원은 "경계선 지능인의 경우, 계약의 복잡성과 중요성에 따라 개별적으로 판단해야 하며, 단순히 경계선 지능이라는 이유만으로 계약 능력을 부정할 수 없다"고 판시했습니다


행정법적 고려사항

경계선 지능인과 관련된 행정법적 쟁점은 주로 장애인 등록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장애인 등록 관련 행정소송최근 IQ 72인 30대 A씨가 장애인 등록 신청을 반려한 행정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는 현행 장애인복지법상 지적장애 기준(IQ 70 이하)의 타당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향후 판결 결과에 따라 경계선 지능인의 법적 지위에 큰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서울행정법원 2018구합65354 판결이 사건에서는 경계선 지능인의 장애인 등록 신청 거부 처분의 적법성이 다투어졌습니다. 법원은 "현행 장애인복지법상 지적장애 기준(IQ 70 이하)이 경계선 지능인의 실질적 어려움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행정청은 IQ 수치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및 사회적응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장애인 등록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판례 분석의 시사점

이러한 판례들은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법적 접근이 단순히 IQ 수치에 의존하지 않고, 개인의 구체적인 상황과 능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보여줍니다. 특히:

  1. 형사사건에서는 경계선 지능인의 책임능력과 진술의 신빙성을 신중히 판단해야 합니다.

  2. 민사사건에서는 경계선 지능인의 계약 능력을 개별 사안에 따라 구체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3. 행정사건에서는 경계선 지능인의 실질적 어려움을 고려하여 장애인 등록 기준을 유연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판례들은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법적 보호와 지원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들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법적 해석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향후 입법과 정책 수립 과정에서 이러한 판례의 취지가 반영되어,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더욱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지원 체계가 마련되기를 기대합니다.



법적 보호의 필요성

경계선 지능인은 현행법상 장애인으로 인정받지 못해 필요한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학습 부진, 사회 부적응 등의 문제로 차별과 불이익을 겪고 있어, 법적 보호의 필요성이 큽니다.



향후 과제
  1. 법률 제정: '경계선지능인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을 통해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법적 정의와 지원 체계를 확립해야 합니다.

  2. 판례 축적: 경계선 지능인과 관련된 형사, 민사, 행정 사건에서의 판례를 축적하여 법적 판단 기준을 정립해야 합니다.

  3. 사회적 인식 개선: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이들의 권리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합니다.

  4. 지원 체계 구축: 경계선 지능인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 취업, 생활 지원 등의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5. 전문가 양성: 경계선 지능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법률, 의료, 교육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해야 합니다.


경계선 지능인에 대한 법적 보호와 지원은 우리 사회의 중요한 과제입니다. 이들의 권리를 보장하고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사회 통합과 발전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앞으로 관련 법률의 제정과 판례의 축적을 통해 경계선 지능인의 법적 지위가 명확히 확립되고, 적절한 지원 체계가 구축되기를 기대합니다.

FIRE.png
barristers.png

조길현 변호사의 홈페이지와 블로그

2024 ⓒ 배리스터 | 변호사 조길현의 홈페이지와 블로그

All Rights Reserved. Site designer MH.

#서초동법률사무소 #서초동관세전문가

배리스터  | 변호사 조길현의 홈페이지와 블로그

이메일 : barrister@barrister.kr

TEL : 010-7686-8894 (사무실 ㅣ 문자, 카톡 가능)

FTX : 031-316-7774

​경기 시흥시 능곡번영길 24 두성타워 4층, 402,403호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