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Blog+
법의 복잡한 세계를 쉽게 풀어내는 전문가의 인사이트
전문분야:
1. 과세전적부심사, 심판청구, 행정소송(관세법,대외무역법,외국환거래법)
2. 관세범 형사소송
3. 금전청구, 손해배상 등 민사소송


대법원 2018도13160 판결: 정제유 수입 사업 투자금 편취 사기 사건의 대응전략과 시사점입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정제유 수입 및 판매 사업을 빙자하여 투자금을 편취한 대규모 사기 사건에 관한 것입니다. 피고인은 1심에서 징역 10년을 선고받았고, 항소심에서 징역 9년으로 감형되었으며, 대법원에서 상고가 기각되어 형이 확정되었습니다. 이...


"블록완구 수입업자의 상표권 침해와 관세법 위반, 대법원 2017도20677 판결에서 유죄가 확정되었습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블록완구 수입업자가 상표권을 침해하고 관세법을 위반한 혐의로 기소되어 1심과 2심에서 유죄 판결 을 받고, 대법원에서 최종적으로 유죄가 확정된 사례입니다. 피고인은 유명 캐릭터와 유사한 디자인의 블록완구를 수입하여 판매하면서...


DSM의 법정 활용과 그 한계: 정신질환 분류체계의 법적 적용에 대한 비판적 견해가 있습니다.
들어가며... 이 글에서는 아래 논문의 내용을 요약정리하여, DSM-5의 진단기준들이 소송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논문의 저자가 말하는 문제점은 무엇인지 들어보고자 합니다. 법정에서의 DSM 사용에 대한 비판적 분석: 정신질환 분류체계의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A Critical Analysis of the Use of the DSM in the Courtroom: Focusing on Actual Use of the Psychiatric Classificatory System 서울대학교 법학 2023, vol.64, no.4, 통권 209호 pp. 245-292 (48 pages) DOI : 10.22850/slj.2023.64.4.245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연구분야 : 사회과학 법학 이슬아 /Lee, Seula I. 서론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정신질환 분류체계인 DSM(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과 ICD(질병 및


대법원 2017두54128 판결 - 특수관계와 수입거래가격의 영향, 관세법상 과세가격 결정의 중요성
개요 대법원 2017두54128 판결은 특수관계가 수입거래가격에 미치는 영향과 관세법상 과세가격 결정의 중요성을 다루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이 판결은 기업의 수입물품에 대한 관세 부과와 관련된 쟁점을 심도 있게 분석하며, 특수관계와 수입거래가격의...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