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Blog+
법의 복잡한 세계를 쉽게 풀어내는 전문가의 인사이트
판례 해석부터 사례 연구, 법령 정리, 행정청 질의응답까지 - 실용적인 법률 지식의 보고


직접생산 확인 취소처분 취소소송의 승소전략 - 서울행정법원 2023구합67279 판결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인 목재마루재(플로어링보드)에 관하여 직접생산 확인을 받은 업체가 타사에서 완제품을 구매하여 납품했다는 이유로 직접생산 확인이 취소된 사안입니다. II. 원고와 피고 원고는 A주식회사이고, 피고는 주식회사...


메주의 정의와 관세품목분류 - 관세율 8%가 적용되는 '메주의 범위를 넓게 해석'한 판결의 승소전략입니다. (수원지방법원 2023구합70610)
I. 개요 이 사건은 중국에서 수입한 발효대두의 관세품목분류와 관련하여, 메주로 분류되어야 하는지가 쟁점이 된 사건입니다. 관세율 8%인 메주인가? 아니면 관세율 45%인 '그 밖의 방법으로 조제하거나 보존처리한 식물의 부분'인지? 여부가...


관세품목분류 소송에서 승소한 사례 - 반도체 검사장비 부분품의 품목분류 대응전략 (서울고등법원 2024누36915)입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반도체 검사장비의 부분품에 대한 관세품목분류와 관련하여 과세관청의 처분이 위법하다고 판단된 사례입니다. II. 원고와 피고 원고: A 주식회사 피고: 인천세관장 III. 사건의 경위 원고는 2017. 5. 14.부터...


관세법위반 사건에서 증거수집과 증거능력이 쟁점이 된 사례입니다 - 대법원 2023도853 판결의 대응전략을 분석합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중국산 국화를 수입하면서 실제 거래가격보다 낮은 금액으로 신고하여 관세를 포탈하고, 수입신고 없이 장기재고품과 바꿔치기하는 방법으로 밀수입한 혐의로 기소된 사건입니다. II. 피고인 화훼류 수입업체 대표 A III. 범죄사실...


외국환거래법위반 사건에서 무허가 자본거래 처벌규정의 시간적 효력범위와 대응전략 - 대법원 2019. 4. 11. 선고 2015도1230 판결을 중심으로 분석합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외국환거래법상 자본거래 허가제가 2006년부터 신고제로 전환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08년에서 2009년 사이에 발생한 무허가 자본거래에 대해 처벌할 수 있는지가 쟁점이 된 사건입니다. 또한 이 사건은 허위의 무역 거래를...


환전업자의 외국환거래법 위반 사건에서 무등록 외국환업무 영위 혐의는 무죄, 확인의무 위반 혐의는 유죄로 판단된 대법원 2018도5678 판결의 대응전략입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환전업자가 외국환거래법상 등록 없이 예금 및 금전대차 업무를 했다는 혐의와 환전 시 확인의무를 위반했다는 혐의로 기소된 사안입니다. II. 피고인 A (환전업자) 주식회사 B (A가 운영하는 환전업체) III. 범죄사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