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Blog+
법의 복잡한 세계를 쉽게 풀어내는 전문가의 인사이트
판례 해석부터 사례 연구, 법령 정리, 행정청 질의응답까지 - 실용적인 법률 지식의 보고


외국환거래법위반 사건에서 무등록 외국환업무 영위 여부에 대한 대응전략 - 대법원 2024도9149 판결을 분석합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피고인이 일본 법인인 주식회사 C로부터 매월 500만원의 수수료를 받고 국내 고객들의 서비스 이용 대금을 수령하여 엔화로 환전한 후 일본 소재 계좌로 송금한 행위가 무등록 외국환업무에 해당하는지가 쟁점이 된 사건입니다....


멘보샤 품목분류 관세율 분쟁 대응전략: 반죽의 정의와 품목분류 기준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I. 개요 베트남산 냉동 멘보샤의 품목분류를 둘러싼 관세율 분쟁 사례입니다. 빵가루나 반죽을 입힌 새우 조제품(관세율 0%)과 기타 새우 조제품(관세율 16%) 중 어느 품목으로 분류할지 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수원세관-조심-2024-30]...


해외 중고품 거래시 외국환거래법 위반 여부와 승소전략 - 대법원 2006. 9. 28. 선고 2004도8435 판결입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일본에서 중고카메라를 구매하면서 외국환업무취급기관을 통하지 않고 직접 엔화로 대금을 지급한 행위가 외국환거래법 위반인지가 쟁점이 된 사건입니다. II. 피고인 피고인은 일본에서 중고카메라와 카메라부품을 보따리로 수입하여...


화물선별시스템 등록, 통관보류 처분의 취소 가능성 - 조심 2024관0026 심결례의 대응전략입니다.
들어가며 이 심결례는 관세청의 화물선별시스템(C/S) 등록 행위가 행정심판의 대상이 되는 처분인지, 그리고 특허침해 의심물품에 대한 통관보류 처분의 적법성에 관한 것입니다. 특허권 보호와 수입업자의 권리 간 균형을 어떻게 맞출 것인지에 대한...


안전인증 없이 LED 램프 수입한 회사, 관세법 위반으로 유죄 확정 - 수입업체의 대응전략은? (서울중앙지방법원 2016노1718)
I. 개요 이 사건은 안전인증이 필요한 안정기내장형 LED 램프를 안전인증 없이 수입하고, 원산지 표시를 하지 않거나 오인하게 한 혐의로 기소된 회사와 임원에 대한 형사재판 입니다. 1심과 2심 모두 피고인들의 혐의를 인정하여 유죄를...


자전거 부품 수입 후 국내 조립 시 원산지 표시 오류로 인한 대외무역법 위반 여부와 대응전략 - 대법원 2007. 10. 25. 선고 2005도6388 판결입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중국에서 수입한 자전거 부품을 국내에서 조립하여 판매하면서 원산지를 한국으로 표시한 행위가 대외무역법 위반에 해당하는지가 쟁점이 된 사건 입니다. 1심과 2심에서는 유죄 판결이 내려졌으나, 대법원에서 무죄 취지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