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Blog+
법의 복잡한 세계를 쉽게 풀어내는 전문가의 인사이트
판례 해석부터 사례 연구, 법령 정리, 행정청 질의응답까지 - 실용적인 법률 지식의 보고


"인증수출자 아닌 회사의 잘못된 원산지증명으로 협정관세 적용받았다가 가산세 부과된 사건, 본세 감면으로 가산세도 취소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대법원 2018. 11. 29. 선고 2015두56120 판결)
I. 개요 이 사건은 항공기 부품을 수입하는 회사가 수출자의 잘못된 원산지증명으로 인해 협정관세를 적용받았다가 가산세를 부과받은 후, 본세에 대한 사후감면신청으로 가산세 부과처분도 취소되어야 한다고 판단한 사례 입니다. 1심부터 대법원까지 모두...


원산지 증명서 오류로 인한 가산세 부과, 과연 정당할까요? - 대법원 2016두53180 판결입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수입업체가 한-미 FTA에 따른 협정관세율을 적용받기 위해 제출한 원산지 증명서에 오류가 있었던 경우, 이를 나중에 보완했음에도 불구하고 세관이 가산세를 부과한 것이 정당한지에 대한 판결 입니다. 1심부터 대법원까지 모든...


"통과선하증권 없이 협정관세 적용받았다가 추징당한 기업, 대법원에서 구제받다" - 대법원 2019. 2. 14. 선고 2017두63726 판결입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잠수복 수입업체가 한-아세안 FTA 협정관세를 적용받았다가 통과선하증권을 제출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관세를 추징당한 후, 법원의 판단을 받은 사례입니다. 1심과 2심에서는 서로 다른 판단이 나왔고, 최종적으로 대법원에서...


원산지신고서 형식요건 미충족, 협정관세 적용 배제... 대법원 2020. 2. 27. 선고 2016두63408 판결입니다
개요 이 사건은 수입업체가 한-EU FTA에 따른 협정관세를 적용받기 위해 제출한 원산지신고서의 형식적 요건 충족 여부가 쟁점이 된 사안입니다. 1심과 2심에서 판단이 엇갈렸고, 최종적으로 대법원은 형식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원산지신고서로는...


관세포탈 13억원, 징역 2년 6개월에 벌금 12억원 선고받은 사건 - 대법원 2022도13085 판결로 본 관세법 위반의 실태와 처벌
개요 이 글에서는 대법원 2022도13085 판결을 통해 관세포탈 사건의 실태와 처벌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20회에 걸쳐 약 13억원의 관세를 포탈하였고, 최종적으로 징역 2년 6개월과 벌금 12억원이 선고되었습니다. 이...


아태무역협정 판결로 본 직접운송 요건의 법적 유연성
사건 개요 이 사건(대법원 2019. 1. 17. 선고 2016두45813)은 아시아·태평양 무역협정(이하 '아태무역협정')에 따른 협정세율 적용과 관련된 분쟁입니다. 원고는 아태무역협정에 따라 협정세율을 적용받기 위해 필요한 직접운송 요건을...


에스프레소 한 잔의 여정: 커피 수입과 관세법의 관계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사랑하는 커피, 특히 에스프레소와 제 전문 분야인 관세법이 만나는 지점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매일 즐기는 커피가 어떤 법적 과정을 거쳐 우리 손에 들어오는지, 그 과정에서 관세법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