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Blog+
법의 복잡한 세계를 쉽게 풀어내는 전문가의 인사이트
판례 해석부터 사례 연구, 법령 정리, 행정청 질의응답까지 - 실용적인 법률 지식의 보고


수입물품 과세가격 산정 시 BOG 운임 가산 여부에 대한 대법원의 판단과 대응전략 - 대법원 2016두47321 판결을 중심으로
I. 개요 이 사건은 한국가스00가 수입한 LNG의 과세가격 산정과 관련하여, 운송 과정에서 발생한 BOG(Boil Off Gas)의 가액을 운임으로 보아 과세가격에 가산할 수 있는지가 쟁점 이 된 사안입니다. 1심과 2심에서는 BOG 가액을...


위탁가공무역 시 수입신고 가격에 원재료비를 포함해야 하는지 - 대법원 2019. 6. 13. 선고 2017도13283 판결의 교훈입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위탁가공무역 방식으로 의류를 수입하면서 수입신고 시 가공임만을 신고하고 원재료비를 포함하지 않은 것이 관세법상 허위신고에 해당하는지가 쟁점 이 된 사건입니다. 1심과 2심에서는 무죄 판결이 선고되었으나, 대법원에서 파기환송...


DSM-5, 정신질환 진단의 양날의 검이 법정에 들어섰습니다.
DSM이란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은 미국정신의학회(APA)에서 출판하는 정신질환 진단 기준서 입니다 . 정신의학 분야에서 가장 널리...


기업의 특허와 노하우가 체화된 설비, 관세 과세가격에 권리사용료 가산 여부가 쟁점이 된 대법원 2016두34110 판결입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일본 기업 AG00로부터 LCD 유리기판 제조설비를 수입하고 권리사용료를 지급한 국내 기업들에 대해 세관장이 해당 권리사용료를 관세 과세가격에 가산하여 관세를 부과한 것이 적법한지가 쟁점이 된 사건입니다. 1심과 2심에서는...


대법원 2021도1239 판결: 외국에서 매각된 선박도 관세법상 수출신고 대상인가? 해외 선박 매각 시 주의해야 할 점들을 알려드립니다.
개요 이 글에서는 대법원 2021. 4. 29. 선고 2021도1239 판결을 분석합니다. 이 판결은 외국 항구에 정박 중인 한국 선박을 외국 회사에 매각한 경우에도 관세법상 수출신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한 원심을 파기 한 사례입니다. 대법원은...


고대주화 밀수입·밀수출 및 유사수신행위로 기소된 회사 대표, 대법원에서 유죄 확정됩니다. - 대법원 2021도1530 판결의 교훈
개요 이 사건은 고대주화를 밀수입·밀수출하고 유사수신행위를 한 회사 대표와 그 회사들에 대한 형사 사건입니다. 대법원 2021도1530 판결에서 최종적으로 유죄가 확정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관세법위반과 유사수신행위의규제에관한법률위반 혐의로...


침향나무 수입 시 환경부장관 허가 필수! 관세법위반 판결로 본 수입 절차의 중요성 (대법원 2021도6459 판결)입니다.
개요 이 글에서는 대법원 2021도6459 판결을 통해 침향나무 수입 시 환경부장관의 허가가 필수적임을 확인한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이 판결은 관세법위반 혐의로 기소된 회사와 대표이사에 대한 것으로, 수입 절차의 중요성을 재확인시켜 주는 중요한...


가짜 석유제품 제조·판매로 7년 징역형 선고된 석유수입업체 대표이사 사건 - 대법원 2021도11758 판결에서 배우는 교훈입니다.
개요 이 사건은 석유수입업체 대표이사가 비규격 경유를 밀수입하여 가짜 석유제품을 제조·판매한 혐의로 기소되어 1심에서 징역 7년 및 벌금 97억 원을 선고받고, 항소심과 대법원에서도 원심이 유지 된 사건입니다. 대법원 2021도11758...


허위 세금계산서 수수와 체납처분 면탈, 업무상횡령 혐의로 기소된 기업인들의 형사재판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 대법원 2023. 1. 12. 선고 2021도9670 판결
제목 "허위 세금계산서 수수와 체납처분 면탈, 업무상횡령 혐의로 기소된 기업인들의 형사재판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 대법원 2023. 1. 12. 선고 2021도9670 판결" 개요 이 글에서는 대법원 2023. 1. 12. 선고 2021도9670...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수입신고를 하지 않은 것은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및 관세법 위반이 됩니다(서울북부지방법원 2021노31 판결).
개요: 이 사건은 커피 드립백을 제조하기 위해 부직포 원단을 일본에서 수입하면서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수입신고를 하지 않은 것이 문제된 사안입니다. 1심에서는 무죄가 선고되었으나, 항소심에서 유죄 판결이 선고되었습니다(서울북부지방법원...


대외무역법위반 및 관세법위반 사건에서 포괄일죄 인정 여부 - 전략물자 무허가 수출 및 허위 수출신고를 여러 번 한 경우, 하나의 범죄로 처벌받을까? - 대법원 2022도12665 판결 분석
개요 이 글에서는 대법원 2022도12665 판결의 내용을 상세히 분석하여, 전략물자를 무허가로 수출하거나 허위로 수출신고한 행위가 어떤 경우 하나의 범죄로 처벌받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심과 2심 법원, 그리고 대법원의 판단을 차례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