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Blog+
법의 복잡한 세계를 쉽게 풀어내는 전문가의 인사이트
전문분야:
1. 과세전적부심사, 심판청구, 행정소송(관세법,대외무역법,외국환거래법)
2. 관세범 형사소송
3. 금전청구, 손해배상 등 민사소송


해외 중고품 거래시 외국환거래법 위반 여부와 승소전략 - 대법원 2006. 9. 28. 선고 2004도8435 판결입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일본에서 중고카메라를 구매하면서 외국환업무취급기관을 통하지 않고 직접 엔화로 대금을 지급한 행위가 외국환거래법 위반인지가 쟁점이 된 사건입니다. II. 피고인 피고인은 일본에서 중고카메라와 카메라부품을 보따리로 수입하여...


해외직구 쇼핑몰 운영자의 관세 납세의무 - 대법원 2015. 11. 27. 선고 2014두2270 판결의 시사점과 대응전략입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해외 직구 쇼핑몰을 운영하면서 국내 소비자가 해외 판매자로부터 직접 구매하는 것처럼 거래 형태를 취했으나, 실질적으로는 국내 사업자가 해외에서 물품을 수입하여 국내 소비자에게 판매한 것으로 보아 관세 등을 부과한 처분의...


200달러 이하 특송화물도 자가사용이 아니면 수입신고 필요합니다 - 대법원 2018도16392 판결
I. 개요 이 사건은 골프용품 판매업자가 200달러 이하의 특송화물을 자가사용 물품인 것처럼 목록통관 방식으로 수입하여 관세법위반 혐의로 기소된 사안 입니다. 1심과 2심에서 유죄가 선고되었고, 대법원에서 상고가 기각되어 유죄가 확정되었습니다....


관세 경정청구 거부처분, 형사판결의 후발적 경정청구 사유 해당 여부가 쟁점이 된 대법원 2020. 1. 9. 선고 2018두61888 판결입니다.
개요 이 사건은 인터넷 쇼핑몰 운영자가 해외 물품을 수입하면서 소액물품 감면을 받았다가 관세 등을 추징당한 후, 관련 형사사건에서 무죄판결을 받자 이를 근거로 경정청구를 했으나 거부당한 사안입니다. 쟁점은 형사판결이 관세법상 후발적 경정청구...


홍콩에서 금괴를 구입하여 한국 공항 환승구역을 통해 일본으로 밀반출한 사건에서 관세법위반죄가 성립한다는 대법원 판결(2020도7495)이 있습니다.
개요 이 사건은 홍콩에서 금괴를 구입하여 한국 김해공항 환승구역을 통해 일본으로 밀반출한 사건(대법원 2020도7495)입니다. 1심과 2심에서는 피고인들에게 유죄를 선고하였고, 대법원에서도 상고를 기각하여 유죄가 확정되었습니다. 피고인 피고인은...


수입식품 인터넷 구매대행업체,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수입신고 안 해 유죄 판결 받았습니다. (대법원 2022. 4. 14. 선고 2021도2046 판결)
개요 대법원은 2022년 4월 14일 선고한 2021도2046 판결에서 수입식품 등 인터넷 구매 대행업 영업등록을 하고 대행업을 영위하는 경우, 구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제20조 제1항에 따라 수입신고를 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이는 해외...


관세의 과세가격 계산 시에 '구매수수료'가 문제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구매수수료가 관세의 과세가격에서 제외되기 위한 요건을 알아보겠습니다.
개요 구매대행수수료 내지 구매수수료가 관세의 과세가격에 포함되는지 여부는 해당 수수료가 '관세법 제30조 제1항 제1호의 구매수수료' 에 해당하는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관세법 제30조 제1항 제1호 에 따르면, 수입물품의 과세가격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