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Blog+
법의 복잡한 세계를 쉽게 풀어내는 전문가의 인사이트
판례 해석부터 사례 연구, 법령 정리, 행정청 질의응답까지 - 실용적인 법률 지식의 보고


수출용 라면을 밀수입하여 국내 유통한 사건, 대법원 2022도2308 판결에서 유죄가 확정되었습니다.
개요 대법원은 2022. 5. 12. 선고 2022도2308 판결에서 수출용 라면을 밀수입하여 국내에 유통한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들에 대해 유죄를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습니다. 이 사건은 수출용 라면을 구입해 수출신고 후 선적하지 않고 국내로...


마스크 밀수출로 추징금 2억 7천만원 부과된 사건, 대법원 2021도16239 판결에서 확정됐습니다.
개요 이 사건은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에 마스크를 중국으로 밀수출한 회사와 그 대표이사에 대한 형사 판결입니다. 대법원 2021도16239 판결에서 1심과 항소심의 판단이 대부분 유지되어 확정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관세법 위반에 대한 처벌과...


금괴 밀반출 사건에서 공동정범 성립 여부를 판단한 대법원 2022도3376 판결 - 금괴 밀수출 사건에 연루된 당신, 공동정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개요: 이 글에서는 대법원 2022도3376 판결의 내용을 상세히 분석하여 금괴 밀반출 사건에서 공동정범 성립 여부를 판단한 법리와 구체적 사실관계를 설명드리고, 이 판결이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피고인: 이 사건의 피고인은 A,...


관세법 위반 및 범죄수익은닉 혐의로 기소된 A씨, 국외 체류 중에도 공소시효 정지된다는 대법원 판결(2022도3165)이 있습니다.
개요: 대법원 2022. 9. 29. 선고 2022도3165 판결에서는 관세법 위반 및 범죄수익은닉 혐의로 기소된 A씨가 형사처분을 면할 목적으로 국외에 체류한 기간에도 공소시효가 정지된다고 판단하였습니다. 피고인: A씨 사건의 경위: 2008년...


금융실명법 위반 방조죄 무죄 판결 - 대법원 2022. 10. 27. 선고 2021도1965 판결에서 '탈법행위 목적의 타인 실명 금융거래' 및 '방조범의 고의'에 대한 중요한 법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개요: 이 글에서는 대법원 2022. 10. 27. 선고 2021도1965 판결의 내용을 상세히 분석하여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 위반 방조죄의 성립요건에 대해 알아보고, 유사한 상황에 처한 분들에게 참고가 될 만한 시사점을...


중국산 라인포스트 애자를 국내산으로 속여 납품한 사기 사건 - 대법원 2021도7567 판결의 시사점
개요: 이 글에서는 대법원 2021도7567 판결의 내용을 상세히 분석하여, 중국산 라인포스트 애자를 국내산으로 속여 납품한 사기 사건의 경위와 쟁점, 그리고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유사한 상황에서의 실무적 대응방안과 법적...


농수산물 원산지 허위표시, 사기로 징역형 선고 - 중국산 참조기로 국산 영광굴비를 만들면? 대법원 2022도3771 판결이 주는 시사점
개요: 대법원은 2022도3771 판결에서, 중국산 참조기를 이용해 만든 굴비의 원산지를 국내산으로 거짓 표시하여 판매한 피고인들에 대해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에 관한 법률 위반죄 및 사기죄를 인정하였습니다. 다만 사기죄와 관련하여 편취액 산정...


대외무역법위반 및 관세법위반 사건에서 포괄일죄 인정 여부 - 전략물자 무허가 수출 및 허위 수출신고를 여러 번 한 경우, 하나의 범죄로 처벌받을까? - 대법원 2022도12665 판결 분석
개요 이 글에서는 대법원 2022도12665 판결의 내용을 상세히 분석하여, 전략물자를 무허가로 수출하거나 허위로 수출신고한 행위가 어떤 경우 하나의 범죄로 처벌받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심과 2심 법원, 그리고 대법원의 판단을 차례로...


조합 탈퇴 정산금 계산, 이것만 알면 실수 없습니다 - 대법원 2023.10.12. 선고 2022다285523, 2022다285530 판결 분석
개요: 대법원 2023.10.12. 선고 2022다285523, 2022다285530 판결은 조합에서 조합원이 탈퇴하는 경우, 탈퇴자와 잔존자 사이의 탈퇴로 인한 계산 방법과 조합원의 지분비율 산정 기준에 관한 판결입니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성폭력 피해 호소 기자회견, 명예훼손 책임 면할 수 있을까? 대법원 2020다296741, 2020다296758 판결이 주는 시사점
개요: 대법원은 2023. 11. 16. 선고한 2020다296741, 2020다296758 판결에서, 성폭력 피해를 주장하는 기자회견에 대해 명예훼손 불법행위 책임이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피해자가 사전에 필요한 절차를 거쳐...
![성인용품 수입통관 보류처분 취소소송, 풍속 해치는 물품 판단기준 - 미성년자 신체 본뜬 성행위 도구는 통관 보류 가능 : 성인용품도 풍속 해치면 수입 금지! 아동 성 상품화 우려되는 인형은 통관 보류 적법 판단 [대법원 2021두46414]](https://static.wixstatic.com/media/b1f6e4_83724f282a3c4b3187bb98a72e179e33~mv2.png/v1/fill/w_333,h_250,fp_0.50_0.50,q_35,blur_30,enc_avif,quality_auto/b1f6e4_83724f282a3c4b3187bb98a72e179e33~mv2.webp)
![성인용품 수입통관 보류처분 취소소송, 풍속 해치는 물품 판단기준 - 미성년자 신체 본뜬 성행위 도구는 통관 보류 가능 : 성인용품도 풍속 해치면 수입 금지! 아동 성 상품화 우려되는 인형은 통관 보류 적법 판단 [대법원 2021두46414]](https://static.wixstatic.com/media/b1f6e4_83724f282a3c4b3187bb98a72e179e33~mv2.png/v1/fill/w_292,h_219,fp_0.50_0.50,q_95,enc_avif,quality_auto/b1f6e4_83724f282a3c4b3187bb98a72e179e33~mv2.webp)
성인용품 수입통관 보류처분 취소소송, 풍속 해치는 물품 판단기준 - 미성년자 신체 본뜬 성행위 도구는 통관 보류 가능 : 성인용품도 풍속 해치면 수입 금지! 아동 성 상품화 우려되는 인형은 통관 보류 적법 판단 [대법원 2021두46414]
개요: 대법원 2021. 11. 25. 선고 2021두46414 판결은 관세법상 '풍속을 해치는 물품'의 의미와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16세 미만 미성년자의 신체를 본뜬 성행위 도구의 수입통관 보류처분이 적법할 수 있음을 판시하였습니다. 원고와...


사해행위취소 소송에서 제척기간 기산점 : 채권자가 취소원인을 안 날이 언제인지? 추징금 채권 보전을 위한 사해행위 취소, 제척기간 도과로 청구 기각된 사례 - 대법원 2022. 5. 26. 선고 2021다288020 판결
개요 대법원은 2022. 5. 26. 선고 2021다288020 판결에서 국세징수법 제25조에 의한 사해행위취소의 소도 민법 제406조 제2항에서 정한 제소기간 내에 제기되어야 한다고 판시하였습니다. 또한 민법 제406조 제2항에서 정한 단기...


국제우편물 필로폰 밀수 사건 판례 분석 - 세관 검사와 압수수색 절차의 적법성
개요 이 사건은 피고인이 공범과 공모하여 중국에서 필로폰을 국제우편으로 밀수입한 사건입니다. 1심에서 유죄판결을 받은 피고인이 항소하였으나 2심과 3심 모두 항소를 기각하고 원심을 유지하였습니다. 본 판례 분석에서는 국제우편물에 대한 세관 검사의...


관세법위반 사건에서의 공모공동정범 성립요건과 양형기준 - 대법원 2016도2696 판결 분석
개요 본 판례는 관세포탈 및 허위신고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들에 대한 사건입니다. 1심에서는 피고인들의 혐의를 모두 유죄로 인정하였고, 2심에서도 1심 판결을 유지하였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에서는 피고인 2에 대한 공소사실이 특정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양형부당을 이유로한 대법원 상고가 받아들여진 경우!
들어가며... 양형부당을 이유로 항소할 수는 있으나, 양형부당을 이유로 상고할 수 있는 경우는 제한적입니다. 여기에서는 양형부당을 이유로한 상고가 받아들여진 판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대법원 1991. 10. 8 선고 91도1718 판결...


대표자 또는 임직원이 관세를 적게 내기 위하여 물품을 수입하면서 그 가격 등을 허위로 신고한 경우, 그 임직원 및 법인에 대한 처벌?
들어가며... 법인의 대표자 또는 임직원이 관세를 적게 내기 위하여 물품을 수입하면서 그 가격 등을 허위로 신고한 경우, 그 임직원 등과 해당 법인에 대하여 어떠한 처벌이 이루어 지는지 판례의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출처:...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