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Blog+
법의 복잡한 세계를 쉽게 풀어내는 전문가의 인사이트
판례 해석부터 사례 연구, 법령 정리, 행정청 질의응답까지 - 실용적인 법률 지식의 보고


대법원은 “과학적 증거방법에 의한 분석 결과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가능성 및 그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증명력을 판단해야 한다고 설시하고 있습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향정)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에 대해, 1심에서 유죄가 선고되었으나 2심에서 무죄로 판단이 뒤집힌 후, 최종적으로 대법원에서 2심 판결이 파기되어 유죄 취지로 환송된 사례입니다. 특히 주사기에서...


"우울증으로 자살한 교사, 보험금 청구 소송에서 대법원이 판단을 뒤집었습니다" - 대법원 2021. 2. 4. 선고 2017다281367 판결
I. 개요 이 사건은 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하던 중 우울증으로 자살한 피보험자의 유족이 보험회사들을 상대로 재해사망보험금을 청구한 소송 입니다. II. 원고와 피고 원고는 자살한 교사의 어머니이며, 피고는 동부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등 4개...


지적장애인의 대출계약 무효 여부, 대법원 판결로 새로운 기준이 제시되었습니다 (대법원 2022. 5. 26. 선고 2019다213344 판결)
I. 개요 이 사건은 지적장애 3급인 피고가 원고 회사와 체결한 굴삭기 구입자금 대출계약의 효력 이 문제된 사안입니다. 1심과 2심에서는 피고의 의사능력을 인정하여 대출계약이 유효하다고 판단했으나, 대법원은 지적장애인의 의사능력 판단 기준을...


DSM의 법정 활용과 그 한계: 정신질환 분류체계의 법적 적용에 대한 비판적 견해가 있습니다.
들어가며... 이 글에서는 아래 논문의 내용을 요약정리하여, DSM-5의 진단기준들이 소송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논문의 저자가 말하는 문제점은 무엇인지 들어보고자 합니다. 법정에서의 DSM 사용에 대한 비판적 분석: 정신질환 분류체계의...


수출가격 조작과 대출보증 사기로 유죄 판결을 받은 기업인들의 이야기: 대법원 2020. 7. 29. 선고 2020도5823 판결입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중고산업기계 수출업체 대표와 베트남 지사장이 수출가격을 허위로 신고하고 고가로 조작하여 수출실적을 부풀린 뒤, 이를 바탕으로 신용보증기금과 한국무역보험공사로부터 대출보증을 받아 은행에서 대출을 받은 사건 입니다. 1심에서...


"수입물품 과세가격 결정 시 수입자의 지위가 중요합니다" - 대법원 2017. 4. 7. 선고 2015두49320 판결
I. 개요 이 사건은 수입물품의 과세가격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입니다. 특히 수입자가 국내 구매자에 대한 독립적인 판매자인지, 아니면 수출자의 판매대리인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쟁점이 되었습니다. 이 판결은 관세 과세가격 결정에 있어 수입자의...


할당관세 적용 추천을 받아 수입한 물품을 제3자에게 판매한 경우, 관세경정부과처분이 적법하다는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 대법원 2016두34417 판결
I. 개요 이 사건은 볶은 땅콩을 원료로 땅콩버터를 제조·판매하는 업체가 중국산 볶은 땅콩을 수입하면서 할당관세 적용 추천을 받아 할당관세율을 적용 받았으나, 일부 수량을 가공 없이 제3자에게 판매한 것이 적발 되어 관세 등을 추징 당한...


부산지방법원 2017. 6. 2. 선고 2017구합20263 판결의 사례에서 소급과세금지원칙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소급과세금지 원칙 위반 여부 소급과세금지의 원칙은 합법성의 원칙을 희생하여서라도 납세자의 신뢰를 보호함이 정의에 부합하는 것으로 인정되는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 한하여 적용된다고 할 것이다. 그 조항에서의 일반적으로 납세자에게 받아들여진...


부산고등법원 2017. 9. 29. 선고 2017누22329 판결로 관세법 상 품목분류관련 법리를 살펴보겠습니다.
1. 수입물품에 대한 품목분류 국내로 수입하는 물품에 대하여 관세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적용하는 세관절차로서 세계관세기구(World Customs Organization, WCO)에서 정한 HS협약{통일상품명 및 부호체계에 관한 국제협약(The...


"기저귀의 본질적 특성을 결정짓는 재료는 무엇일까요? - 대법원 2018. 3. 13. 선고 2017두65715 판결입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유아용 기저귀 수입업체인 한국피앤00판매 유한회사가 관세청의 품목분류 변경 및 그에 따른 관세 등 부과처분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한 사례입니다. 쟁점은 수입한 기저귀의 본질적 특성을 부여하는 재료가 무엇인지, 그에 따라 어떤...


원산지 증명서 오류로 인한 가산세 부과, 과연 정당할까요? - 대법원 2016두53180 판결입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수입업체가 한-미 FTA에 따른 협정관세율을 적용받기 위해 제출한 원산지 증명서에 오류가 있었던 경우, 이를 나중에 보완했음에도 불구하고 세관이 가산세를 부과한 것이 정당한지에 대한 판결 입니다. 1심부터 대법원까지 모든...


"통과선하증권 없이 협정관세 적용받았다가 추징당한 기업, 대법원에서 구제받다" - 대법원 2019. 2. 14. 선고 2017두63726 판결입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잠수복 수입업체가 한-아세안 FTA 협정관세를 적용받았다가 통과선하증권을 제출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관세를 추징당한 후, 법원의 판단을 받은 사례입니다. 1심과 2심에서는 서로 다른 판단이 나왔고, 최종적으로 대법원에서...


기업의 특허와 노하우가 체화된 설비, 관세 과세가격에 권리사용료 가산 여부가 쟁점이 된 대법원 2016두34110 판결입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일본 기업 AG00로부터 LCD 유리기판 제조설비를 수입하고 권리사용료를 지급한 국내 기업들에 대해 세관장이 해당 권리사용료를 관세 과세가격에 가산하여 관세를 부과한 것이 적법한지가 쟁점이 된 사건입니다. 1심과 2심에서는...


"수입물품 반송 후 관세 가산세 부과는 위법하다" - 대법원 2015두56120 판결입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수입한 물품을 위약물품으로 반송한 후 관세를 환급받았음에도 가산세를 부과할 수 있는지가 쟁점이 된 사건 입니다. 1심과 2심에서는 상반된 판단이 나왔고, 최종적으로 대법원에서 가산세 부과처분을 취소하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이...


관세 경정청구 거부처분, 형사판결의 후발적 경정청구 사유 해당 여부가 쟁점이 된 대법원 2020. 1. 9. 선고 2018두61888 판결입니다.
개요 이 사건은 인터넷 쇼핑몰 운영자가 해외 물품을 수입하면서 소액물품 감면을 받았다가 관세 등을 추징당한 후, 관련 형사사건에서 무죄판결을 받자 이를 근거로 경정청구를 했으나 거부당한 사안입니다. 쟁점은 형사판결이 관세법상 후발적 경정청구...


"관세 재조사 금지 원칙을 위반한 과세처분은 위법하다" - 대법원 2020. 2. 13. 선고 2015두745 판결입니다.
개요 이 사건은 관세청이 이미 조사한 사안에 대해 재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과세처분을 한 것이 관세법상 재조사 금지 원칙을 위반했는지가 쟁점이 된 사건입니다. 대법원은 재조사 금지 원칙을 위반한 과세처분은 위법하다고 판단하여 원심을...


방영권 라이선스료도 관세 과세가격에 포함된다? - 대법원 2020. 2. 27. 선고 2018두57599 판결입니다.
개요 이 사건은 해외 애니메이션 등 영상물을 수입하여 국내에서 방영하는 TV채널 사업자가 해외 제작사에 지급한 방영권 라이선스료를 관세 과세가격에 포함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분쟁입니다. 1심과 2심에서는 라이선스료가 과세가격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대법원 2017두54128 판결 - 특수관계와 수입거래가격의 영향, 관세법상 과세가격 결정의 중요성
개요 대법원 2017두54128 판결은 특수관계가 수입거래가격에 미치는 영향과 관세법상 과세가격 결정의 중요성을 다루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이 판결은 기업의 수입물품에 대한 관세 부과와 관련된 쟁점을 심도 있게 분석하며, 특수관계와 수입거래가격의...


수정수입세금계산서 재발급 거부, 귀책사유 없음 인정된 대법원 2019두44378 판결입니다.
개요 이 사건은 수입업체가 로열티를 물품의 과세가격에 가산하여 관세 및 부가가치세를 신고·납부하다가 경정청구를 통해 환급받은 후, 다시 증액경정을 받아 납부한 세액에 대한 수정수입세금계산서 재발급을 세관장이 거부한 사안입니다. 대법원은...


특수관계에 있는 회사 간 거래가격이 과세가격으로 인정될 수 있을까요? - 대법원 2021. 1. 14. 선고 2017두58281 판결입니다.
개요 이 사건은 의료기기 수입업체인 원고가 미국 본사로부터 심박출량 측정기를 수입하면서 신고한 거래가격을 과세관청인 피고가 부인하고 새로운 과세가격을 산정하여 관세 등을 부과한 것에 대해 다툰 사건입니다. 1심에서 원고 승소, 2심에서 피고...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