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Blog+
법의 복잡한 세계를 쉽게 풀어내는 전문가의 인사이트
판례 해석부터 사례 연구, 법령 정리, 행정청 질의응답까지 - 실용적인 법률 지식의 보고


선박 매매대금 초과송금이 재산국외도피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대응전략을 알려드립니다 - 대법원 2019. 3. 14. 선고 2018도14754 판결
I. 개요 이 사건은 해상운송업 및 원양어업 회사인 △△△△ 주식회사(이하 '△△△△')의 대표이사 최○○와 상무이사 이○○이 선박 매매대금을 부풀려 해외 특수목적법인(SPC) 명의의 예금계좌로 초과송금한 행위 등이...


자동차 수입업체의 변경인증 누락 사건에서 대법원이 변경보고 의무 위반도 처벌 대상이라고 판단한 사례입니다. (대법원 2019도6588)
I. 개요 이 사건은 자동차 수입업체가 수입 자동차의 배출가스 및 소음 관련 부품 변경 시 필요한 변경인증 절차를 거치지 않고 자동차를 수입한 것이 문제가 된 사안입니다. 1심과 2심에서는 피고인들의 유죄가 인정되었고, 대법원에서는 일부 무죄...


"중국산 고춧가루를 한국산으로 속여 수출한 업체, 대법원에서 유죄 확정됐습니다." - 대법원 2019. 9. 25. 선고 2019도7597 판결
I. 개요 이 사건은 중국산 고춧가루를 한국산으로 속여 해외로 수출한 업체 관계자들에 대한 형사재판 입니다. 1심에서 유죄가 선고되었고, 2심과 대법원에서도 원심이 유지되어 최종적으로 유죄가 확정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원산지를 허위로 표시하여...


200달러 이하 특송화물도 자가사용이 아니면 수입신고 필요합니다 - 대법원 2018도16392 판결
I. 개요 이 사건은 골프용품 판매업자가 200달러 이하의 특송화물을 자가사용 물품인 것처럼 목록통관 방식으로 수입하여 관세법위반 혐의로 기소된 사안 입니다. 1심과 2심에서 유죄가 선고되었고, 대법원에서 상고가 기각되어 유죄가 확정되었습니다....


유럽산 화장품 수입 시 관세포탈과 FTA 특혜관세 부정수취로 유죄판결을 받은 사건입니다 - 대법원 2019도11515 판결
I. 개요 이 사건은 유럽산 화장품을 수입하면서 관세를 포탈하고 부정하게 FTA 특혜관세를 적용받은 피고인에 대한 형사재판 사건 입니다. 1심에서 유죄가 선고되었고, 2심과 3심에서도 유죄 판결이 유지 되었습니다. 다만 2심에서 형량이 일부...


"중고차 수입 사기와 관세법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건: 대법원 2019도14613 판결입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일본산 중고차량을 수입하면서 사기 행위와 관세법 위반 행위를 저지른 피고인에 대한 형사 재판에 관한 것입니다. 피고인은 1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고, 2심에서도 대부분 유죄가 인정 되었으며, 대법원에서 최종적으로 상고가...


관세법 위반 등에 대한 서울고등법원2018노3225판결을 통해서, 위법수집증거 및 파생증거의 증거능력 배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개요 관세법 위반 등에 대한 형사소송에서, 재판부가 절차의 적법성과 위법수집증거 및 파생증거의 증거능력 판단에 어떻게 판단하고 있는지, 판례의 사례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서울고등법원2018노3225판결은 이에 관한 상세한 기준을 제시하고...


수입가격 조작으로 관세법 위반 혐의를 받은 기업 임원들, 대법원에서 유죄 확정되었습니다 (대법원 2020. 2. 6. 선고 2019도15050 판결)
I. 개요 이 사건은 철강재 수입업체 임원들이 수입가격을 조작하여 관세법을 위반한 혐의로 기소된 사건 입니다. 1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항소심에서 일부 무죄 판결을 받았고, 최종적으로 대법원에서 유죄가 확정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기업의 관세...


대법원에서 관세법위반 사건의 추징금 산정 기준을 제시한 판결입니다. (대법원 2020도3545)
I. 개요 이 사건은 피고인들이 외제 중고차량을 밀수출한 혐의로 기소되어 1심과 2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후 대법원에 상고한 사건 입니다.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유지하면서 관세법상 추징금 산정에 관한 법리를 제시하였습니다. II. 피고인...


DSM-5, 정신질환 진단의 양날의 검이 법정에 들어섰습니다.
DSM이란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은 미국정신의학회(APA)에서 출판하는 정신질환 진단 기준서 입니다 . 정신의학 분야에서 가장 널리...


수출가격 조작과 대출보증 사기로 유죄 판결을 받은 기업인들의 이야기: 대법원 2020. 7. 29. 선고 2020도5823 판결입니다.
I. 개요 이 사건은 중고산업기계 수출업체 대표와 베트남 지사장이 수출가격을 허위로 신고하고 고가로 조작하여 수출실적을 부풀린 뒤, 이를 바탕으로 신용보증기금과 한국무역보험공사로부터 대출보증을 받아 은행에서 대출을 받은 사건 입니다. 1심에서...


판례로 본 땅콩버터 제조업체의 '할당관세' 적용, 세관의 추징 및 이 처분에 대한 다툼!!을 정리해 보고, 할당관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서울행정법원-2014구합61941 판례로 본 땅콩버터 제조업체의 할당관세 적용!! 사실관계와 사건의 경위를 시간 순서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배경: 원고는 'B'라는 상호로 볶은 땅콩을 원료로 땅콩버터를 제조하여 국내에 판매하는 사업을...


대법원 2020도7418 판결 : 식용에 적합하지 않은 오리부산물을 수출했다고 해서 반드시 폐기물로 신고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개요 대법원 2020도7418 판결은 식용에 적합하지 않은 오리부산물을 수출하면서 폐기물이 아닌 것으로 신고한 것이 관세법 위반인지가 쟁점이 된 사건입니다. 1심과 2심은 견해를 달리하였고, 대법원은 폐기물로 신고하지 않았다고 해서 관세법 위반이...


홍콩에서 금괴를 구입하여 한국 공항 환승구역을 통해 일본으로 밀반출한 사건에서 관세법위반죄가 성립한다는 대법원 판결(2020도7495)이 있습니다.
개요 이 사건은 홍콩에서 금괴를 구입하여 한국 김해공항 환승구역을 통해 일본으로 밀반출한 사건(대법원 2020도7495)입니다. 1심과 2심에서는 피고인들에게 유죄를 선고하였고, 대법원에서도 상고를 기각하여 유죄가 확정되었습니다. 피고인 피고인은...


북한산 무연탄을 러시아산으로 위장 수입한 사건, 대구고등법원 2020노562 판결에서 유죄가 인정되었습니다.
개요 이 사건은 북한산 무연탄을 러시아산으로 위장하여 수입한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들에 대한 항소심 판결입니다. 대구고등법원 2020. 8. 19. 선고 2019노562 판결에서 법원은 피고인들의 대부분의 혐의를 유죄로 인정하고 징역형과 벌금형을...


신용장 사기와 관세법 위반으로 징역 7년 선고된 사건, 대법원 2020도11873 판결을 통해 본 국제무역 사기의 위험성입니다.
개요 이 사건은 신용장을 이용한 수출 사기와 관세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들에 대한 대법원 2020도11873 판결입니다. 피고인들은 실제 가치보다 훨씬 비싼 가격으로 무기항균제를 수출하는 것처럼 꾸며 은행으로부터 수출환어음 매입대금을...


금괴 밀수입 사건에서 공동정범과 방조범의 구별 - 광주고등법원 2020. 9. 25. 선고 (전주)2019노225 판결을 통해 본 형법상 공범 이론의 실제 적용입니다.
개요 이 사건은중국에서 한국으로 대규모 금괴밀수입을 한 혐의로 기소된피고인들에 대한 형사재판입니다.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원 2019고합59 판결에서는 피고인들의 공동정범 성립 여부와 밀수입 금액의 정확성 등이 주요 쟁점이 되었습니다. 법원은...


프랜지 원산지 조작 사건, 1200억 원대 사기죄 인정됐습니다 - 부산고등법원 2021. 1. 13. 선고 2020노361 판결
개요 부산고등법원은 2021년 1월 13일 선고한 2020노361 판결에서 프랜지 제조업체 H사와 그 임직원들이 저가의 중국산 프랜지를 국내산으로 속여 판매한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그대로 유지하며 항소를 기각했습니다. 이 사건은 10년 넘게...


관세포탈 사건에서 실질화주와 공동정범의 판단 기준 - 부산지방법원 2019노77 판결을 통해 알아봅니다.
개요 이 글에서는 부산지방법원 2019노77 판결을 통해 관세포탈 사건에서 실질화주와 공동정범의 판단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사건은 중국산 타일 수입 과정에서 발생한 관세포탈 혐의에 대한 것으로, 1심 판결을 뒤집은 항소심 판결의 내용을...


고대주화 밀수입·밀수출 및 유사수신행위로 기소된 회사 대표, 대법원에서 유죄 확정됩니다. - 대법원 2021도1530 판결의 교훈
개요 이 사건은 고대주화를 밀수입·밀수출하고 유사수신행위를 한 회사 대표와 그 회사들에 대한 형사 사건입니다. 대법원 2021도1530 판결에서 최종적으로 유죄가 확정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관세법위반과 유사수신행위의규제에관한법률위반 혐의로...
bottom of page